728x90
반응형
제어의 역전 IoC(Inversion of Control)
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
기존 프로그램에서는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/연결/실행했다.
(이전 예시 코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)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그러나 의존성 주입(DI)을 통해 AppConfig에서 프로그램을 제어하고,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하게 됐다.
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{
//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 // dip 위반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 // DIP 지킴
// memberRepository 구현체가 뭐가 들어갈지를 생성자를 통해 건네줌
public MemberServiceImpl(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) {
this.memberRepository = memberRepository;
}
}
이렇게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(IoC)라 한다.
(자신이 호출하는게 아니라 프레임워크가 코드를 대신 호출!)
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?
-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,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이다. (JUnit)
-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라이브러리이다.
의존관계 주입 DI(Dependency Injection)
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(런타임)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
의존관계는 아래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.
-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
-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쉽게 판단할 수 있다.
-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아도 분석할 수 있다.
- 그러나 실제 어떤 객체가 어디에 주입 될지 알 수 없다.
- 동적인 객체(인스턴스) 의존 관계 (실행 시점에 결정)
- DI 시,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참조값을 전달해서 연결된다.
- DI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 변경 없이,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.
-
public class AppConfig {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() { //return new FixDiscountpolicy();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(); // 타입 인스턴스 변경 } }
- DI를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,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.
IoC 컨테이너, DI 컨테이너
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
728x90
반응형
'Tech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프링 핵심 원리]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(0) | 2022.01.11 |
---|---|
[스프링 핵심 원리]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- BeanDefinition (0) | 2022.01.10 |
[스프링 핵심 원리] 스프링 컨테이너 기초 (0) | 2022.01.05 |
[스프링 핵심 원리] DIP와 생성자 주입, 의존관계 주입(DI) (0) | 2022.01.01 |
[스프링 핵심 원리]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(SOLID), 스프링 (0) | 2021.12.22 |